샤를 메시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를 메시에(1730-1817)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으로 유명하다. 그는 1751년부터 프랑스 해군 천문대에서 조제프 니콜라 들릴의 조수로 일하며 천문학을 시작하여, 13개의 혜성을 발견했다. 메시에가 혜성을 찾던 중 혜성과 혼동하기 쉬운 천체들을 정리하여 만든 메시에 천체 목록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 110개의 천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뫼르트에모젤주 출신 - 미셸 플라티니
프랑스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 미셸 플라티니는 AS 낭시, AS 생테티엔, 유벤투스 FC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이끌었으며, 3년 연속 발롱도르를 수상하는 등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으나, 은퇴 후 UEFA 회장직을 수행하던 중 FIFA 부패 스캔들로 활동이 정지되었다. - 뫼르트에모젤주 출신 - 프랑수아 제니
프랑스의 법학자 프랑수아 제니는 법 해석에 다양한 학문 분야를 융합한 '자유 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고 자연법 부활을 주창하며 법 실증주의를 비판했으며, 법학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 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 1730년 출생 - 유언호
유언호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정조의 신임을 받아 규장각 직제학, 이조 참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했으며, 조덕린 복관 문제로 사직한 후 사망했다. - 1730년 출생 - 에티엔 베주
에티엔 베주는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이며, 베주 정리, 베주 항등식, 베주 정역 등 수학 분야에 기여했고, 《대수방정식론》을 저술하여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동상이 세워지고 소행성이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 혜성 발견자 - 하인리히 올베르스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독일의 의사이자 천문학자로, 팔라스와 베스타 두 소행성을 발견하고 혜성 궤도 계산법을 개발했으며, 올베르스의 역설을 제시하여 우주론 연구에 기여했다. - 혜성 발견자 - 요한 팔리사
오스트리아 천문학자 요한 팔리사는 육안으로 122개의 소행성을 발견하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육안 소행성 발견자로 기록되었으며, 팔리사-볼프 성도 제작, 랄랑드상과 발츠상 수상, 소행성 914 팔리사나와 달의 크레이터 팔리사 명명 등으로 업적을 기리고 있다.
샤를 메시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샤를 메시에 |
원어 이름 | Charles Messier |
출생일 | 1730년 6월 26일 |
출생지 | 바동빌레, 프랑스 |
사망일 | 1817년 4월 12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연구 분야 | |
분야 | 천문학 |
주요 업적 | 메시에 목록 |
수상 | |
수상 | 레지옹 도뇌르 십자장 |
기타 | |
관련 단체 | 왕립학회 |
2. 전기
샤를 메시에[12]는 1730년 6월 26일 프랑스 로렌 지방의 바동빌레에서 니콜라 메시에와 프랑수아 그랑블레즈 사이에서 12명의 자녀 중 10번째로 태어났다. 메시에 가문의 형제자매 중 여섯은 어린 나이에 사망했고, 1741년에는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났다.[12] 어린 시절 메시는 1744년에 6개의 꼬리를 가진 대혜성을 관측하고, 1748년 7월 25일에는 고향 마을에서 금환일식을 관측하는 특별한 경험을 했다. 이러한 경험은 메시에게 천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2]
1751년, 메시에는 프랑스 해군 천문대의 천문학자 조제프 니콜라 들릴 밑에서 일하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천문학에 입문했다. 그는 들릴의 조수로 일하며 천체 관측 기술을 익혔고, 1753년 5월 6일에는 수성의 태양면 통과를 관측하여 처음으로 기록을 남겼다.[13]
메시에는 혜성 발견에 큰 업적을 남겼다. 1758년 겨울부터 예측되었던 핼리 혜성을 찾기 시작하여 1759년 1월 21일에 발견, 드릴 천문관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그러나 이 발견은 요한 게오르크 팔리치가 1758년 12월 25일에 발견한 것보다 한 달 늦은 것이었고, 당시 통신 수단의 미비로 인해 독자적인 발견이 늦어진 것은 어쩔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메시는 부당한 비방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욱 혜성 탐색에 전념하게 되었다.
1760년 드릴이 은퇴하면서 메시에가 천문관 직책을 이어받았다. 그는 혜성 발견자로서 명성을 쌓았고, 1764년에는 왕립학회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 메시는 혜성을 찾던 중 혜성과 혼동하기 쉬운 천체들이 많다는 것을 인지하고, 1764년 초부터 이러한 천체들의 목록을 작성하기 시작했다. 그해 말, 그는 자신이 발견한 18개의 천체와 기존에 알려진 천체들을 더해 40개(M1-M40)의 천체 목록을 만들었다. 이후 1765년 큰개자리에서 M41을 발견하고 목록을 45개로 늘리려 했으나, 오리온 대성운, 프레세페 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 등 유명한 천체들을 추가했다.
1769년, 메시에는 양자리 부근에서 대혜성(C/1769P1)을 발견하여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 자격을 얻었다.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처음에는 단순한 서기였던 메시에에게 회원 자격을 주는 것을 망설였지만, 1770년 그가 렉셀 혜성(D/1770 L1)을 발견하자 결국 그를 인정하고 같은 해 과학 아카데미 회원 자격을 부여했다.
메시에는 평생 동안 13개의 혜성을 발견했으며,[16] 그 중 하나는 조수였던 피에르 메생과 공동으로 발견한 것이다. 루이 15세는 메시에게 "혜성 사냥꾼"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고, 나폴레옹은 그에게 훈장을 수여했다. 메시에가 발견한 혜성은 다음과 같다.[16]
- C/1760 B1 (Messier)
- C/1763 S1 (Messier)
- C/1764 A1 (Messier)
- C/1766 E1 (Messier)
- C/1769 P1 (Messier)
- D/1770 L1 (Lexell)
- C/1771 G1 (Messier)
- C/1773 T1 (Messier)
- C/1780 U2 (Messier)
- C/1788 W1 (Messier)
- C/1793 S2 (Messier)
- C/1798 G1 (Messier)
- C/1785 A1 (Messier-Méchain)
또한 혜성 C/1801 N1은 폰스, 메생, 부바르드와 공동으로 발견했다.[17]
메시에는 메시에 천체 목록을 작성하여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774년에는 제1권(M1-M45), 1781년에는 제2권(M46-M68), 1784년에는 제3권(M69-M103)을 발표했다. 이 목록에 수록된 천체들은 메시에 천체라고 불리며, 예를 들어 M31은 안드로메다 은하를 가리킨다. 메시에 천체 목록에는 성운 외에도 성단, 은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메시에는 구경 9cm 아크로마트 굴절 망원경, 구경 15.2cm 그레고리 반사 망원경[14], 구경 19cm 그레고리 반사 망원경[15] 등을 사용하여 천체를 관측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 7359번에는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1775년에는 제롬 랄랑드에 의해 마차부자리에 '메시에자리'라는 별자리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2. 1. 초기 생애
샤를 메시에[12]는 1730년 6월 26일 프랑스 로렌 지방의 바동빌레에서 니콜라 메시에와 프랑수아 그랑블레즈 사이에서 12명의 자녀 중 10번째로 태어났다. 메시에 가문의 형제자매 중 여섯은 어린 나이에 사망했고, 1741년에는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났다.[12] 어린 시절 메시는 1744년에 6개의 꼬리를 가진 대혜성을 관측하고, 1748년 7월 25일에는 고향 마을에서 금환일식을 관측하는 특별한 경험을 했다. 이러한 경험은 메시에게 천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2]1751년, 메시에는 프랑스 해군 천문대의 천문학자 조제프 니콜라 들릴 밑에서 일하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천문학에 입문했다. 그는 들릴의 조수로 일하며 천체 관측 기술을 익혔고, 1753년 5월 6일에는 수성의 태양면 통과를 관측하여 처음으로 기록을 남겼다.[13]
메시에는 혜성 발견에 큰 업적을 남겼다. 1758년 겨울부터 예측되었던 핼리 혜성을 찾기 시작하여 1759년 1월 21일에 발견, 드릴 천문관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그러나 이 발견은 요한 게오르크 팔리치가 1758년 12월 25일에 발견한 것보다 한 달 늦은 것이었고, 당시 통신 수단의 미비로 인해 독자적인 발견이 늦어진 것은 어쩔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메시는 부당한 비방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욱 혜성 탐색에 전념하게 되었다.
1760년 드릴이 은퇴하면서 메시에가 천문관 직책을 이어받았다. 그는 혜성 발견자로서 명성을 쌓았고, 1764년에는 왕립학회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 메시는 혜성을 찾던 중 혜성과 혼동하기 쉬운 천체들이 많다는 것을 인지하고, 1764년 초부터 이러한 천체들의 목록을 작성하기 시작했다. 그해 말, 그는 자신이 발견한 18개의 천체와 기존에 알려진 천체들을 더해 40개(M1-M40)의 천체 목록을 만들었다. 이후 1765년 큰개자리에서 M41을 발견하고 목록을 45개로 늘리려 했으나, 오리온 대성운, 프레세페 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 등 유명한 천체들을 추가했다.
1769년, 메시에는 양자리 부근에서 대혜성(C/1769P1)을 발견하여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 자격을 얻었다.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처음에는 단순한 서기였던 메시에에게 회원 자격을 주는 것을 망설였지만, 1770년 그가 렉셀 혜성(D/1770 L1)을 발견하자 결국 그를 인정하고 같은 해 과학 아카데미 회원 자격을 부여했다.
메시에는 평생 동안 13개의 혜성을 발견했으며,[16] 그 중 하나는 조수였던 피에르 메생과 공동으로 발견한 것이다. 루이 15세는 메시에게 "혜성 사냥꾼"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고, 나폴레옹은 그에게 훈장을 수여했다. 메시에가 발견한 혜성은 다음과 같다.[16]
- C/1760 B1 (Messier)
- C/1763 S1 (Messier)
- C/1764 A1 (Messier)
- C/1766 E1 (Messier)
- C/1769 P1 (Messier)
- D/1770 L1 (Lexell)
- C/1771 G1 (Messier)
- C/1773 T1 (Messier)
- C/1780 U2 (Messier)
- C/1788 W1 (Messier)
- C/1793 S2 (Messier)
- C/1798 G1 (Messier)
- C/1785 A1 (Messier-Méchain)
또한 혜성 C/1801 N1은 폰스, 메생, 부바르드와 공동으로 발견했다.[17]
메시에는 메시에 천체 목록을 작성하여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774년에는 제1권(M1-M45), 1781년에는 제2권(M46-M68), 1784년에는 제3권(M69-M103)을 발표했다. 이 목록에 수록된 천체들은 메시에 천체라고 불리며, 예를 들어 M31은 안드로메다 은하를 가리킨다. 메시에 천체 목록에는 성운 외에도 성단, 은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메시에는 구경 9cm 아크로마트 굴절 망원경, 구경 15.2cm 그레고리 반사 망원경[14], 구경 19cm 그레고리 반사 망원경[15] 등을 사용하여 천체를 관측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 7359번에는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1775년에는 제롬 랄랑드에 의해 마차부자리에 '메시에자리'라는 별자리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2. 2. 천문학 경력
샤를 메시에는 1730년 프랑스 로렌 지방 바동빌에서 태어났다.[12] 1744년 여섯 꼬리가 발달한 혜성과 1748년 7월 25일 금환일식을 관측한 경험으로 천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6]1751년 프랑스 해군 천문대의 조제프 니콜라 들릴 밑에서 천체 관측을 시작했다. 메시에의 첫 관측 기록은 1753년 5월 6일의 수성의 일면통과였다.[16] 1758년 겨울부터는 할리 혜성 탐색을 시작하여 1759년 1월 21일에 발견, 드릴 천문관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하지만, 이는 요한 게오르크 팔리치의 발견(1758년 12월 25일)보다 한 달 후였다.[13]
1760년, 드릴의 퇴직과 함께 천문관에 취임했다. 1764년에는 왕립학회의 일원이 되었으며,[16] 혜성 탐색 중 혜성과 혼동하기 쉬운 천체가 많다는 것을 깨달은 메시에는 1764년 초부터 이러한 천체의 목록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해 말, 자신이 발견한 18개의 천체에 기존에 알려진 천체들을 더하여 40개(M1-M40)의 천체 목록을 작성했다.[13] 1769년에는 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의 일원으로 선출되었고,[16] 양자리 변두리에서 대혜성(C/1769P1)을 발견하여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 자격을 얻었다.[13] 1770년 6월 30일, 프랑스 과학한림원에 선출되었다.[16] 루이 15세는 메시에게 "혜성 사냥꾼"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1]
메시에는 13개의 혜성을 발견했다:[2]
- C/1760 B1 (메시에)
- C/1763 S1 (메시에)
- C/1764 A1 (메시에)
- C/1766 E1 (메시에)
- C/1769 P1 (메시에)
- D/1770 L1 (렉셀)
- C/1771 G1 (메시에)
- C/1773 T1 (메시에)
- C/1780 U2 (메시에)
- C/1788 W1 (메시에)
- C/1793 S2 (메시에)
- C/1798 G1 (메시에)
- C/1785 A1 (메시에-메생)
폰스, 메생, 부바르와 공동으로 혜성 C/1801 N1 (Comet Pons-Messier-Méchain-Bouvard)을 발견했다.[3]
1774년에 『메시에 천체 목록』 제1권(M1-M45), 1781년에 제2권(M46-M68), 1784년에 제3권(M69-M103)을 각각 발표했다. 이 목록에 기재된 천체를 메시에 천체라고 부른다.
메시에가 사용했던 망원경에는 구경 9cm 아크로마트 굴절 망원경과 구경 15.2cm 그레고리 반사 망원경[14], 그리고 구경 19cm 그레고리 반사 망원경[15] 등이 있다.
2. 3. 혜성 발견
샤를 메시에는 1751년 프랑스 해군 천문대의 조제프 니콜라 들릴 밑에서 천체 관측을 시작했다. 메시에는 13개의 혜성을 발견했다.[16][2]- C/1760 B1 (메시에)
- C/1763 S1 (메시에)
- C/1764 A1 (메시에)
- C/1766 E1 (메시에)
- C/1769 P1 (메시에)
- D/1770 L1 (렉셀)
- C/1771 G1 (메시에)
- C/1773 T1 (메시에)
- C/1780 U2 (메시에)
- C/1788 W1 (메시에)
- C/1793 S2 (메시에)
- C/1798 G1 (메시에)
- C/1785 A1 (메시에-메생)
또한 혜성 C/1801 N1(Comet Pons-Messier-Méchain-Bouvard)을 폰스, 메생, 부바르와 공동으로 발견했다.[17][3] 메시에는 1744년 여섯 꼬리가 발달한 대혜성을 관측하고, 1748년 7월 25일 마을에서 금환일식을 관측한 경험에서 자극받아 천문학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1]
2. 4. 말년
메시에는 1769년 나폴레옹의 탄생에 대혜성을 연결하는 소책자를 직접 출판했다.[16] 루이 15세는 메시에게 "혜성 사냥꾼" 이라는 별명을 붙였고, 나폴레옹은 메시에에게 훈장을 수여했다.메시에는 페르 라셰즈 묘지 11번 구획에 묻혔다. 묘지는 희미하게 새겨져 있으며, 근처에 프레데리크 쇼팽의 무덤이 있다.[12] 그의 공적을 기념하여 달의 크레이터와[14], 소행성 7359번[15]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1775년, 제롬 랄랑드에 의해 마차부자리에 메시에자리가 설정된 적이 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3. 메시에 목록
메시에는 밤하늘에 혜성으로 착각하여 보일 수 있는 천체들을 정리했다. 메시에 목록은 그의 친구이자 조수인 피에르 메셍과 협력하여 작성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은하, 4개의 행성상 성운, 7개의 다른 종류의 성운 그리고 55개의 성단으로 구성되어 있다.[5][6]
이 목록은 프랑스 파리의 클뤼니 중세 박물관에서 100mm 굴절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된 천체가 기록되어 있다. 관측된 천체는 천구의 북극에서부터 적위 -35.7°에 분포하고 있으며, 천체의 종류나 위치 등의 과학적인 체계로 따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다.[7]
1774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학술지에 출판된 메시에 목록의 첫판에는 45개의 천체가 등재되어 있었다. 1780년까지 목록은 80개의 천체로 증가했다. 최종판인 1781년 판에는 그 수가 늘어 103개 천체가 올라 있었다.[8][9][10] 그 후 천문학자와 역사학자 등이 메시에와 그의 친구, 조수인 피에르 메생 등이 일곱 천체를 더 관측했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 일곱 천체를 목록에 추가하여 M1부터 M110까지를 공식적인 메시에 천체라 부르며 전문가 및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3. 1. 목록의 구성
메시에는 밤하늘에 혜성으로 착각하여 보일 수 있는 천체들을 정리했다. 메시에 목록은 그의 친구이자 조수인 피에르 메셍과 협력하여 작성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은하, 4개의 행성상 성운, 7개의 다른 종류의 성운 그리고 55개의 성단으로 구성되어 있다.[5][6]이 목록은 프랑스 파리의 클뤼니 중세 박물관에서 100mm 굴절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된 천체가 기록되어 있다. 관측된 천체는 천구의 북극에서부터 적위 -35.7°에 분포하고 있으며, 천체의 종류나 위치 등의 과학적인 체계로 따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다.[7]
1774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학술지에 출판된 메시에 목록의 첫판에는 45개의 천체가 등재되어 있었다. 1780년까지 목록은 80개의 천체로 증가했다. 최종판인 1781년 판에는 그 수가 늘어 103개 천체가 올라 있었다.[8][9][10] 그 후 천문학자와 역사학자 등이 메시에와 피에르 메생 등이 일곱 천체를 더 관측했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 일곱 천체를 목록에 추가하여 M1부터 M110까지를 공식적인 메시에 천체라 부르며 전문가 및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3. 2. 목록의 발전
메시에는 밤하늘에서 혜성으로 오인될 수 있는 천체들을 목록으로 정리했다. 이 목록은 그의 친구이자 조수인 피에르 메셍과 협력하여 작성되었으며,[5] 39개의 은하, 4개의 행성상 성운, 7개의 다른 종류의 성운, 26개의 산개 성단, 29개의 구상 성단으로 구성되어 있다.메시에는 프랑스 파리 시내의 오텔 드 클뤼니(현재 클뤼니 중세 박물관)에서 100mm(4인치)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했다.[7] 그가 작성한 목록에는 북쪽 천구극에서 약 −35.7°의 적위까지, 그가 관측할 수 있는 하늘 영역에서 발견된 천체만 포함되어 있으며, 천체 유형이나 위치에 따라 과학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
1774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저널에 발표된 메시에 목록의 첫 번째 버전에는 45개의 천체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중 17개는 메시가 직접 발견한 것이다.[7] 1780년까지 목록은 80개의 천체로 늘어났다. 1781년에 발표된 목록의 최종 버전에는 103개의 천체가 수록되어 있었다.[8][9][10]
이후 1921년부터 1966년 사이에 여러 차례에 걸쳐 천문학자와 역사가들은 메시에 또는 메생이 최종 버전이 발표된 직후 관측한 또 다른 7개의 천체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다. M 104부터 M 110까지의 이 7개의 천체는 천문학자들에 의해 "공식적인" 메시에 천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M 1부터 M 110까지의 메시에 명칭은 오늘날에도 전문 및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3. 3. 목록의 활용
메시에는 밤하늘에서 혜성으로 오인될 수 있는 천체들을 정리했다. 피에르 메셍과 협력하여 작성된 메시에 목록은 현재 39개의 은하, 4개의 행성상 성운, 7개의 다른 종류의 성운, 26개의 산개 성단, 29개의 구상 성단으로 구성되어 있다.[5]이 목록은 프랑스 파리의 클루니 국립 박물관에서 100mm 굴절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된 천체가 기록되어 있다. 관측된 천체는 천구의 북극에서부터 적위 -35.7°에 분포하고 있으며, 천체의 종류나 위치 등의 과학적인 체계로 따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다.
1774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학술지에 출판된 메시에 목록의 첫판에는 45개의 천체가 등재되어 있었고, 이중 17개는 메시에게 직접 발견했다.[7] 1781년 판에는 그 수가 늘어 103개 천체가 올라 있었다. 그 후 천문학자와 역사학자 등이 메시에와 피에르 메생 등이 일곱 천체를 더 관측했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 일곱 천체를 목록에 추가하여 M1부터 M110까지를 공식적인 메시에 천체라 부르며 전문가 및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밝기 때문에 아마추어 천문학계에서 인기있는 관측 대상이다.
4. 유산
달의 메시에 크레이터와 소행성 7359 메시에는 그의 업적을 기려 이름이 붙여졌다.[11]
참조
[1]
잡지
The Obsessive Comet Hunter
https://astronomy.co[...]
2017-02-01
[2]
웹사이트
Catalog of comet discoveries
http://www.comethunt[...]
2008-05-15
[3]
서적
Blazing a Ghostly Trail: ISON and Great Comets of the Pas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0-19
[4]
서적
Charles Messier, Napoleon, and Comet C/1769 P1
http://www.icq.eps.h[...]
[5]
웹사이트
The Messier Catalog
http://messier.seds.[...]
SEDS
2010-05-08
[6]
서적
Messier's nebulae and star cluste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Meet the Astronomers: Charles Messier
http://www.seasky.or[...]
2014-09-02
[8]
학술지
Catalogue des Nébuleuses & des amas d'Étoiles
[9]
웹사이트
Original Messier Catalog of 1781
http://messier.seds.[...]
2007-11-10
[10]
웹사이트
Charles Messier's personal copy of his 1781 "Catalog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http://messier.seds.[...]
[11]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1-09-09
[12]
웹사이트
星ナビ.com - 星職人 星のソムリエ、パリへ行く 第4回「シャルル・メシエ(前編)」
https://www.astroart[...]
アストロアーツ
2020-10-11
[13]
FRS
Messier; Charles (1730 - 1817)
2021-03-10
[14]
서적
天文アマチュアのための望遠鏡光学. 反射編
https://www.worldcat[...]
誠文堂新光社
1988
[15]
웹사이트
Messier's telescopes
http://www.messier.s[...]
2019-09-15
[16]
웹사이트
Catalog of comet discoveries
https://web.archive.[...]
2020-10-18
[17]
서적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